사찰 연혁
- 신라 소지마립간 15년(493년) 승려 극달이 창건했다고 전해지나 493년은 신라에 불교가 전파되기 전이라 신라 흥덕왕 7년(832년) 승려 심지가 창건한 것이 유력 - 고려시대 불법 시험을 치는 장소로 지정되었으며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승려 사명당이 동화사에서 승병들을 지휘한 장소로 활용 - 일제강점기 때 항일독립운동의 거점지 - 1992년 남북통일을 기원하며 높이 30m에 다다르는 석불을 조성
오동나무 꽃(동)이 아름다운(화) 사찰이라는 의미로 한겨울에 오동나무 꽃이 핀 모습에서 유래
- 신라 소지마립간 15년(493년) 승려 극달이 창건했다고 전해지나 493년은 신라에 불교가 전파되기 전이라 신라 흥덕왕 7년(832년) 승려 심지가 창건한 것이 유력 - 고려시대 불법 시험을 치는 장소로 지정되었으며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승려 사명당이 동화사에서 승병들을 지휘한 장소로 활용 - 일제강점기 때 항일독립운동의 거점지 - 1992년 남북통일을 기원하며 높이 30m에 다다르는 석불을 조성
신라 41대 흥덕왕의 셋째 아들인 심지는 승려 영심이 속리산 길상사에서 법회를 연다는 소식을 듣고 그곳으로 갔다. 심지는 법회에서 열심히 기도하여 영심으로부터 석가모니의 뼈인 ‘불간자'를 받았다. 법회가 끝나고 심지는 팔공산으로 돌아와 사찰을 세울 장소를 점치기 위해 산꼭대기에서 불간자를 던졌고 불간자는 바람에 날아가 팔공산 깊은 곳 샘물에 떨어졌다. 심지가 그곳으로 가보니 겨울철임에도 샘물 주변에는 오동나무 꽃이 아름답게 피어 있었다. 이후 심지는 샘물 주변에 사찰을 창건하고 간자를 모시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