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주사(法住寺)

    부처의 법(불경)이 머무르는 사찰이라는 의미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405
    동서울, 대전 터미널 속리산행 버스 -> 속리산 하차
    회인면 탐방(인산객사/오장환문학관/골목길 산책) / 태화루(꼬막짬뽕) / 도리뱅뱅이(옥천군 청산면)
    템플스테이 운영
    무료

    사찰 연혁

    - 553년 승려 의신이 창건 - 남북국시대 신라 혜공왕 12년(776년), 승려 진표에 의해 금동미륵대불을 조성 - 고려시대 승려가 약 3만 명이 될 정도로 규모가 컸음 -
임진왜란으로 사찰 대부분 소실 - 인조 2년(1624)에 승려 벽암, 각성이 '팔상전'을 다시 지음 - 조선 고종 9년(1872년), 대원군이 당백전 화폐(경복궁 재건을 위해 발행한 화폐)를 주조하기 위해 금동미륵대불 몰수 - 이후 시멘트로 미륵대불을 다시 조성

    관련 설화

    승려 의신이 천축국(인도)에 갔다가 백나귀에 불경을 싣고 와서 사찰을 지을 터를 찾아다니는 길에 흰 노새가 지금의 법주사 터에 이르러 발걸음을 멈추고 울었다고 한다. 의신이 노새의 기이한 행적에 걸음을 멈추고 주변을 둘러보니 아름다운 경치에 비범한 기운도 느껴져서 그곳에 사찰을 지은 후 이름을 인도에서 가져온 경전 즉, 부처의 법이 머물렀다는 뜻에서 법주사라 하였다.